본문 바로가기
파이썬

파이썬 기초 1️⃣ [입 출력, 변수, 연산, 자료형 변환]

by Ele(단단) 2021. 6. 21.
반응형

 

📌 개인적으로 파이썬의 기초라고 생각하는 것

print() : 우리가 원하는 정보나 자료를 출력

print("출력을 해달라")
# 출력을 해달라 

print(1, '출력을 해달라')
# 1 출력을 해달라
# 콤마를 사용해서 한 줄에 여러개를 출력할 수 있다
# "" 혹은 '' 사용이 가능하다

 

 👉 input() : 사용자에게 값을 입력 받기 // 알고리즘 문제에 많이 나옴

client_input = input()
# 터미널에서 123을 입력
print(client_input)
# 123을 입력 <= 출력 내용

 

자료형 : 숫자형(Number), 문자열(String), 리스트(List)

  • 숫자형(Number) : 숫자로 이루어진 자료형 정수나 실수 등을 다룰 수 있다 숫자 끼리의 연산이 가능
  • 문자열(String) : 문자나 문자들을 늘어놓은 것 큰 따옴표(“”)와 작은 따옴표(‘’)로 구분
  • 리스트(List) : 여러 자료를 보관하는 자료형. 다른 종류의 자료를 함께 담을 수 있다. 자료 안에 순서가 있다.
    다른 언어에서는 '배열'이라고 불리는 [ ] 대괄호로 감싸여진 자료형이다.

 

주석 처리

# 이렇게 '#'을 한번 쓰면, 해당 1줄은 주석처리

"""
여러 줄을 주석처리 하려면
위 아래에 쌍따옴표 3개 혹은
따옴표 3개씩 위아래에 삽입하면 된다
"""

 

변수(variable) : 박스, 자료를 박스에 담아서 보관 및 사용한다.

 

 

편하게 사용하려고 변수에 자료를 담아둔다.

 

 

변수 이름 짓는 방법 

🆗 숫자, 알파벳, 한글, 언더바(_) 등을 사용할 수 있다

❌ 예외 사항
ㄱ. 변수이름이 숫자로 시작하면 안된다
ㄴ. 숫자로만 구성된 변수 이름 금지
ㄷ. 파이썬 문법에서 사용되는 예약어 (이미 사용되는 단어 : for, while, if …)사용 금지
ㄹ. 공백 문자( )와 연산자(+, -, % 등) 사용 금지

 

숫자형 자료의 사칙 연산

 

더하기, 빼기, 곱하기, 나누기

 

 

 👉 숫자형 자료의 특수 연산 :

제곱, 몫, 나머지

 

문자형 자료의 연산 :

print('출력' + '하세요')
# 출력하세요
print('이거?' * 3)
# 이거?이거?이거?

 

형 변환 : 바꿀 자료형(바꿔야 하는 자료형) 

 

int = 숫자(정수)
float = 숫자(실수)
str = 문자열
list = 리스트

a = '777'
b = int(a)
print(type(b)) 
# <class ‘int’> | 숫자
# 이제 a는 '777'문자형이 아니라, 777 이라는 정수형으로 변했다

 

논리 자료형 : True(참), False(거짓)

and : 모두가 True 여야함
print(3==3 and 4<=5 and 6>2)
#세 항이 모두 True이므로, True!
>>> True

or : 하나만 True면 됨
print(3==4 or 4<=5 or 6<2)
# 4<=5가 True이므로, True가 존재하기에 True!
>>> True

not : 논리를 반대로 
print(not 3==4)
# False에 Not을 붙였으므로, True!
>>> True

 

비교 연산자 : 주어진 진술이 참이면 True, 거짓이면 False

print(3 < 5) #True
print(7 == 5) #False
print(2 >= 10) #False
print(5 != 10) #True

비교 연산자의 종류

== 같다
!= 다르다
> 왼쪽이 더 크다
< 오른쪽이 더 크다
>= 왼쪽이 같거나 크다
<= 오른쪽이 같거나 크다

 

반응형

댓글